본문 바로가기

공방246

bellagio t-shirt design and print by NAKI in Bellagio Lake Como, Italy 티셔츠를 처음 시작하려 할때도 진행중이었을때도, 그리고 앞으로 진행하게 되더라도 아마 그래픽 작업뒤 한정된 수량을 손수 프린팅하여 제작 판매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싶다. 출처 : https://www.behance.net/gallery/13871327/bellagio-t-shirt 2015. 12. 26.
동대문 DDP 야간투어 실크스크린 체험진행 #02 안녕하세요 롤러팩토리입니다. 이번 소개해드릴 내용은 동대문 DDP에서 진행하는 야간투어 관람객과 함께 하는 실크스크린 체험입니다. 지난번에도 한번 포스팅 했었는데 이번이 두번째로 다음은 내년을 기약해야겠어요 우선 간단한 소개로 시작해서 실크스크린 이론과 재료들을 설명드리고 DDP 야간투어에 맞게 축광 안료를 설명해드렸습니다. 이론 수업은 간단히, 아무래도 직접 눈으로 보는게 빠르겠죠? 실크스크린의 전과정을 모두 시현해보이기는 어려우니 몇단계를 생략해 바로 감광후 수세하여 제판하는 과정을 보여드렸습니다. 감광후 필름을 씻어주면 사진처럼 도안이 뚫리게 되죠 그러고 난뒤 잘 건조해주면 제판이 완성된답니다. 물론 프레임 없이는 인쇄가 힘드니 견장을 해야하지만 기존의 타카나 본드가 아닌 아주 간단하게 실크스크린 .. 2015. 12. 23.
실크스크린 재료 디아졸22 안녕하세요 롤러팩토리입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실크스크린 재료는 디아졸22 유제입니다. 디아졸22는 보라색을 띈 디아조 타입의 유제로 넓은 시간의 감광시간을 지녀 제판이 용이하고 강한 내 용제성으로 유성잉크에 특화되어 있는 유제입니다. 그래픽 인쇄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제판에 손쉽고 가격이 저렴한 보급형 유제입니다. 이제 실크스크린 교육부터 재료까지 롤러팩토리에서 한번에 해결하세요 2015. 12. 19.
실크스크린으로 광목 원단에 날염 작업 안녕하세요 롤러팩토리입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실크스크린 작업은 광목원단에 수성안료로 인쇄하는 작업입니다. 우선 안료 컬러를 조색해서 인쇄 색상을 맞추고 프린팅할 준비를 마쳤어요 수성 안료의 경우 유성에 비해 원단에 스며들기 때문에 충분한 양을 조색해야 합니다. 사진상의 녹색의 경우도 조색에 꽤 어려움을 겪었거든요 한번 인쇄가 들어가서 안료가 모자를시 다시 조색하면 정말 똑같은 색을 만들기란 좀 어려운거 같아요 수성 안료는 유성에 비해 묽고 조색하면서 점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혼합제를 첨가해서 점성도를 올려줄 수 있습니다. 광목원단은 일반원단에 비해 거칠고 원단결이 크기 때문에 한번 인쇄해서는 제대로 찍히질 않는거 같아요 인쇄전 기본적으로 프레임을 고정하고 인쇄대상물도 고정하여 여러번 스퀴질 하더라.. 2015. 12. 18.
실크스크린 원형 재단물 프린팅 작업 안녕하세요 롤러팩토리입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실크스크린 작업은 원형 재단물에 글씨 인쇄입니다. 우선 재단물 사이즈가 제각각이다보니 위치를 잘 잡아야겠죠 인쇄 대상물을 올려 놓는 위치도 잡아둬야 동일한 위치에 계속해서 올릴 수 있어요 그다음엔 바로 인쇄 작업에 들어갔어요 실크스크린 작업에서 무엇하나 중요하지않은게 없겠지만 그중 인쇄대상물에 맞는 안료 선택은 필수겠죠 상성이 맞지않으면 인쇄가 잘 되었더라도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 할 수 있거든요 실크스크린 작업은 단 한장만 찍어도 재미있지만 좀 허망하죠, 인쇄전까지 과정이 길기 때문에 . . . 단순하게 반복적으로 프린팅하더라도 참 재미있는거 같아요 무언가를 찍어낸다는것, 그것이 내가 만든것이라면 더 욱 더 의미 있고 작업이 즐거운거 같아요 작업 완료후 재작.. 2015. 12. 16.
실크스크린을 가장 쉽게 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롤러팩토리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실크스크린 재료는 바로 다이렉트 프레임으로 실크스크린 작업을 아주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다이렉트 프레임의 특징은 견장과 필름이라고 할 수 있는데 견장은 필름을 중심을 맞춰 액자처럼 끼워넣어준뒤 나사를 돌려 고정만 시켜주면 됩니다. 필름은 모든 과정이 마친 상태라 견장후 바로 감광후 물로 씻어내면 제판이 완성됩니다. 사진처럼 프레임에 끼워넣고 나사를 돌려 고정해주면 견장이 끝나게 됩니다. 견장한 상태로 감광을 하셔되고 필름만으로 감광을 하셔도 됩니다. 물로 씻는것도 감광과 마찬가지예요 이제 제판을 마쳤으니 인쇄할 준비를 해야겠죠 인쇄를 위해 물감을 도포한 사진이예요 이런식으로 도포하면 인쇄할때마다 전혀다른 결과물이 나오지만 그라데이션처럼 물감.. 2015. 12. 16.